OPENHOUSE

HD현대 글로벌 R&D 센터(GRC)

니켄세케이 + 희림건축

2024년 10월 26일 11:00AM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수서로 477
참가비 10,000원
사진_김용관
사진_김용관
사진_김용관
사진_김용관
사진_김용관
사진_김용관
사진_김용관

* 내부 구조상 교통약자는 투어 이동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오픈하우스 진행 
김미화 (니켄세케이 팀장)

큐브(CUBE), 보이드(VOID), 그리드(GRID)로 디자인한 스마트 R&D 오피스
HD현대 그룹 17개사를 통합한 R&D 스마트오피스 실현
부지는 경부 고속도로에서 우수한 인지성을 가지는 마지막 개발이 가능한 대지였고, 그 위치성에도 HD현대가 가지는 기업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구현하여 새로운 경관을 창출하는 것이 목표였다. 또한, 주변 환경과의 조화도 요구되어 잡월드 및 성남 FC 축구센터 등과 연계된 프로그램 및 레벨 계획으로 보행 동선을 연결하고, 저층부의 내부 시설이 지역주민에게 휴식과 문화 공간을 제공하는 오픈스페이스와 지역 간 소통 및 커뮤니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요구사항이었다. 
그렇게 탄생한 HD현대 글로벌 R&D 센터는 HD현대 17개사 연구인력 및 지원인력 약 5,000명이 근무하는 그룹의 통합사옥이다. 본 건물은 지상 20층, 옥상 1층, 지하 5층으로 약 100m 높이의 큐브 형태 건물이다. 1층부터 3층까지의 저층부를 공공영역으로 계획하고, 4층에 오피스 로비를 마련해 누구에게나 열린 로비 공간을 디자인하였다. 오피스는 5층부터 20층까지 구성하였고, 최상층에는 VIP층으로 계획하였다. 일 년 내내 일교차가 큰 서울 외곽 성남시에 있는 본 사무실은 기후에 적응한 양질의 근무환경과 소통을 촉진하는 공간을 직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적 창의성 향상을 목표로 한 스마트오피스다. HD현대의 기업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 큐브(SMART CUBE), 스마트 보이드(SMART VOID),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를 시설 계획의 3개 축으로 삼았다. 

큐브가 입체적으로 전개하는 상징적인 파사드
「스마트 큐브」는 철골 아웃 프레임에 의한 약 90m 사방의 상징적인 큐브 형상의 디자인이다. 계획 부지 옆 고속도로를 비롯해 각 방향에서 시인할 수 있는 균질하고 아름다운 파사드는 철과 함께 성장해 온 HD현대의 정체성과 환경에 대한 기업의 자세를 표현하고 있다. 여름에는 고온 고습, 겨울에는 혹한한 기후에 큐브 모양의 건물 형상은 부피당 표면적이 작아 건물 전체의 열부하 저감에 이바지한다. 수평 강성은 철골 브레이스로 확보하고, 내화 성능은 도막 두께 4.8mm로 3시간 내화 인정을 취득했다.

빛·바람·사람이 오가는 보이드
「스마트 보이드」 는 건물 중앙부를 위아래로 관통하는 거대한 보이드 공간을 말한다. 전체 90m×90m의 정사각형 중앙에 36m×36m로 형성된 보이드 공간은 태양광과 바람의 길이며 조명 및 공조를 통한 에너지 사용을 절감할 수 있는 큰 공간의 특징을 살린 환경 장치이기도 합니다. 또한, 주위에 연속되는 ㅁ자형의 업무공간은 유니버설 워크 스페이스, 오피스서포트, 커뮤니케이션 데크 3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보이드를 향해 갈수록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밀도와 질이 향상되며 보이드 공간을 마주하고 연속되는 단상의 커뮤니케이션 데크를 계획했다. 인테리어와 보이드 사이는 유리 등에 의한 칸막이를 가능한 한 마련하지 않고 개방함으로써 직원들의 활동을 가시화하는 동시에 단상의 커뮤니케이션 데크로 상하층의 왕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우발적인 교류를 유도한다. 창의성을 높이고 원활하게 왕래할 수 있는 스마트 워크 플레이스를 목표로 했다.

GRID가 실현하는 유연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
「SMART GRID」는 가로세로와 높이 전부 90m의 정방형 건축물이며 4.5m 그리드에 근거한 아웃 프레임 디자인을 가리킵니다. 외주부 실내공간은 18m의 무주 공간으로 플랜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일사 차폐를 통해 페리 미터 존의 환경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사무실 레이아웃의 가변성을 담보하기 위해 천장도 모듈화하고 있으며 조명기구는 천장 슬릿부에 레이아웃 함으로써 칸막이 변경에 대응하기 쉬운 계획이다. 그리드 모양의 천장에는 방사 냉난방+칠드빔을 적용하여 우리 전통 온돌과 마찬가지로 방사열을 활용함으로써 공조 드래프트로 인한 불편함이 없는 쾌적한 온열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거주자 웰니스에 중요성을 더한 환기에 대해서도 외기를 천장에서 공급하고 바닥에서 되돌아가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신선 공기를 순환하는 방식을 전면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탈탄소 사회를 향한 에비던스에 기반한 엔지니어링
풍부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세계적인 탈탄소화를 추진하기 위해, 에비던스에 근거한 엔지니어링으로 응하고 있다. 전술한 계획상의 고안 이외에도, 대규모 수축열 이용에 의한 피크 전력 억제나 온 사이트 태양광 발전에 의한 재생 가능 에너지의 활용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도입 효과를 모니터링·검증해, 운용에 피드백함으로써, 새로운 성능 향상을 목표로 날마다 대처하고 있다.
또, 오피스 조명이나 EHP(Electric Heat Pump)에 전원 공급에는 HD 현대가 개발하고 있는 직류 배전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탈탄소 사회 실현을 위해 LED 조명, 태양전지, 축전지 등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설비가 증가하는 가운데 교류-직류 변환 로스가 없는 시스템 도입은 향후 보급 확대를 위한 선진적인 대처라고 할 수 있다.

니켄세케이  사진 김용관


<수상이력>
국내
• 2024년 녹색 건축대전 환경부 장관상 수상
• 2023년 성남시 하늘정원상 대상
• 2023년 강구조학회 올해의 강구조물
• 2023년 토목건축기술대상 대상(국토부 장관상)

해외
• ASHRAE (미국 공조 학회) Regional Technology Award 2024-2025  ‘Regional Winner’
• 카테고리 Commercial Buildings ‘NEW’ 
• International Architecture Awards 2024  ‘Honorable Mention’ 
• CTBUH (미국 초고층 학회)
① Best Tall Building, by Region, Asia 2024 Award of Excellence 2024 CTBUH Awards
② Best Tall Building, by Height, 100-199 meters 2024 Award of Excellence 2024 CTBUH Awards
③ Systems Award 2024 Winner 2024 CTBUH Awards
• 2024 iF Design Award
• MIPIM Asia Awards 2023 Best office project Silver 

나카모토 타로
니켄세케이 설계부문 디렉터 
1991년 도쿄 예술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건축 디자인 전문가 집단인 니켄세케이에 입사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코나미 슈퍼캠퍼스(2007년), 호키 박물관(2011년), 메이지 진구 가이엔 교육연수원(2011년), 조사이대학 키요이초 캠퍼스(2013년) 등이 있다. 2013년에 호키미술관으로 JIA (건축가 협회) 건축상을 수상했다.일본 건축 학회와 일본 건축가 협회의 회원이다. 

마츠모토 히로키
니켄세케이 설계부문 어소시에이트 아키텍트 
1987년 규슈 디자인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받은 마츠모토 씨는 건축 디자인 전문가 집단인 니켄세케이에 입사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카도카와 제3본사 (2011년), 신주쿠 가레덴 타워(2016년) 등이 있다.

김미화 
니켄세케이 설계부문 팀장 / 일본 1급 건축사
한국에서 정치외교학을 공부한 후, 건축가의 꿈을 이루기 위해 유학길에 올라, 일본 타마미술대학(Tama Art University)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니켄세케이에 입사했다. 오시아게 자전거 주차장(2012), 도쿄 가든 테라스 키요이초(2016), 니시니혼시티은행 키타큐슈빌딩(2017), 인천항 국제 여객 페리 터미널(2020), 현대 R&D 글로벌 센터(2023) 등 일본과 한국을 오가며 도시·건축 설계와 프로젝트 매지니먼트를 담당하고 있다.

설계: 니켄케세이(NIKKEN SEKKEI LTD)+희림건축사사무소 
설계 담당: 타로 나카모토(Taro Nakamoto, Senior Director, Architectural Design Department), 히로키 마츠모토(Hiroki Matsumoto, Associate, Architectural Design Department), 김미화(Project Architect, Global Business Department) 
업무 영역:
- 니켄세케이_스키메틱 디자인(Schematic design), 디자인 디벨롭먼트(design development), 실시 설계 도면 감리(construction documentation review), JV, joint design, supervision, consulting, etc.
- 희림건축사사무소_스키메틱 디자인, 디자인 디벨롭먼트, 실시 설계(construction documentation)
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수서로 477 (정자동)
용도: 오피스 
대지면적: 25,068.10㎡
연면적: 175,751.38㎡
규모: 지하 20층, 지상 5층 
최대 높이: 99.870m
구조: 철골조, 철근콘크리트조(SRC)
외부 마감: 스틸 아우터 프레임, 알루미늄 패널, 3중 로이 글래이징(Triple low-e glazing) 등 
내부 마감: 돌, 타일 카펫 등 
시공: 현대건설 
준공: 2023년 5월 
의뢰인 : HD 현대

Map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수서로 477
건축가니켄세케이 + 희림건축
건축주HD현대
일시2024년 10월 26일 11:00AM
위치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수서로 477
집합 장소1층 로비 크레이트 월 앞
TOP LIST
VISIT YOURSELF 백남준 기념관, 최욱(원오원아키텍스) 서울 종로구 창신동에 위치하는 백남준 생가 터 중 일부를 서울시가 매입하여 서울시립박물관의 기획으로 만들어진 곳이 백남준 기념관이다. 대상지의 건축물은 50여 년이 지난 도시형 한옥으로 백남준 생가의 흔적은 없고 필지의 일부를 점유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장소는 주민공동체와 서울시립미술관이 공존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카페는 주민공동체가 운영하며 공간은 주민들의 사랑방의 역할을 하며 기념관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운영한다. 마당은 두 협의체의 공유공간이다. 한옥을 기념관으로 만들며 세운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한옥의 목조 주요 부재를 드러냄을 우선으로 한다. 창호나 실내 칸막이 등 필요 기능에 의해 형성된 과거의 형태에 집착하지 않는다. 도시형 한옥의 생명은 마당을 구심점으로 이루어짐으로 마당과 내부와의 연계에 집중하여 단면 계획에 섬세한 정성을 기울인다. 내외부 공간은 신발을 신고 다니므로 재료의 연계 및 구법을 통일시킨다. 지역의 오랜 기억을 가진 도로 측에서 보이는 외부공간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실내는 목적에 효과적인 구법을 구사하여 최대한 개방감을 만든다. 마당과 하늘 사이에 사람의 모습을 아름답게 만든다. 글 원오원아키텍스  사진 ONE O ONE factory 원오원아키텍스 http://101architects.com 백남준 기념관 개관 화 - 일 10:00~19:00 (관람 종료 30분 전까지 입장) 휴관 월요일, 1월 1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정상 개관) 관람료 무료 문의 02-2124-5268 웹사이트 https://sema.seoul.go.kr/kr/visit/nam_june_paik_house 최욱 1963년생.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이탈리아 베네치아 건축대학(dottore in arch.)에서 건축설계 및 이론을 공부하였고 macdowell colony (u.s.a.), Valparaiso foundation (spain)에서 펠로우쉽을 받았다. 현재 ONE O ONE architects의 대표이다. 2006년 베니스 비엔날레, 2007년 선전-홍콩 비엔날레에 초대되었으며 대표작으로 학고재 갤러리, 두가헌,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 등이 있다.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가 2013 DFAA(Design For Asia Awards)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으로 2014 김종성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VISIT YOURSELF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조경찬(터미널7 아키텍츠)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은 대상지 주변에 숨겨져 있는 각기 다른 높이의 역사적 순간들을 드러내고 연결한다. 각각 기존 국세청 남대문 별관, 덕수궁 지하보도, 시민청 높이에 상응하는 지하 3개 층에 대부분의 시설을 배치한다. 덕수궁 돌담에서 수평적으로 연장된 지붕은 성공회 성당 앞마당과 함께 옥상 광장으로 통합되고 가려져 있던 이면을 드러내는 시각적 기단이 된다. 내부 공간은 지상과 지하를 잇는 게이트의 역할을 하고, 다양한 역사적 층위를 한 공간에서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외부 광장 옥상 광장은 성공회 성당의 앞마당과 이어지는 통합 광장으로 계획되었다. 이후 계획이 변경되면서 단차가 생겼지만, 옥상 광장, 시의회 마당, 세종대로 인도와 주변 도로에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통합된 광장처럼 기능할 수 있게 했다. 옥상에 소공로와 같은 방향의 길을 두어 대상지가 가진 근현대사의 흔적 위에서 서울광장을 조망할 수 있게 하였고 국세청 남대문 별관 철거 시 남겨진 기둥 하나를 광장에 남기고 나머지는 바닥과 같은 높이로 두어 앞으로의 시민 활동의 배경이 되고자 했다. 내부 광장 덕수궁 지하보도와 건물을 직접 연결하고 인도를 차지하고 있던 출입구 2개소를 내부에 배치했다. 건물 내부 공간을 통해 시민청과 전철역, 그리고 앞으로 조성될 주변의 지하 공간과 연결된다. 건물이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게이트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지하로 연결되는 계단들에는 출입구가 없는 반 외부 공간으로 계획했다. 모든 전시 공간은 복층 공간으로 여러 층을 통합한다. 지하 3층의 대공간은 지상 1층까지를 통합하는 아트리움으로, 높은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중 덕수궁 방향의 벽은 건물의 주요 진입로를 따라 아트리움에 도달할 때 마주하는 주요 벽이자, 각 층의 발코니 공간과 내부 공간이 바라보는 벽이다. 앞으로 도시의 축적된 층위를 보여주는 전시가 계획되어 각기 다른 시간 속에서 쌓인 기억을 통합하는 공간의 경험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글 조경찬(터미널 7 아키텍츠) 사진 이현준  서울도시건축전시관 개관 매일 10:00 ~ 18:00 (입장마감 17:30) 휴관 1월 1일, 설날, 추석, 매주 월요일(공휴일인 경우 다음날) 관람료 무료 (일부 기획전시는 경우에 따라 별도 운영) 문의 02-736-8050 홈페이지 site/urbanArch/home 조경찬(Terminal 7 Architects)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을,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이후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건축 석사를 받았다. 라파엘 비뇰리 건축사무소에서 실무를 쌓고 2015년 뉴욕에서 터미널 7 아키텍츠(Terminal 7 Architects)를 세웠다. 세종대로 역사문화공간(서울도시건축전시관) 설계를 시작으로 서울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VISIT YOURSELF 평화문화진지: 대전차방호시설 리모델링, 유종수 + 김빈(코어건축사사무소) 아파트와 벙커 [평화문화진지]의 기존 건물 대전차방호시설은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 이동 경로상의 군사적 요충지였던 곳에 지어진 군사시설이다. 1968년 착공하여 1970년에 준공된 시설로 1층에는 방호시설, 2, 3, 4층에는 3개의 아파트로 구성되었고 초기에는 군인주택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군사시설임을 감추기 위해 주거공간으로 방호시설을 위장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전시의 방어시설과 평시의 주거공간. 상반된 성격의 공간으로 전시에 유효한 시설과 평시에 필요한 시설이 하나의 구조물로 건립되는 것을 가능하게 했을 것이다.  현황 대지 현황은 동쪽으로 수락산과 중랑천을, 서쪽으로 도봉산을 면하고 있다. 남쪽으로 2009년에 개장한 창포원이 있고 북쪽으로 최근 조성된 동북권 체육공원이 있다. 서쪽에 있는 지하철 1, 7호선 도봉산역과 동쪽의 마들로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마들로가 의정부까지 연장되었고 이 신설도로공사로 인해 기존 건물의 동측 일부가 철거되었다. 5개의 벙커에서 5개의 중정을 가지는 단일화된 시민 공간으로 방호시설은 총 5개의 동으로, 각 동은 내부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총 길이는 동서 방향으로 약 250m에 이른다. 각 동은 가로 40m, 세로 14m의 규모로 ㄷ자 형태의 대전차 작전 공간(전차 위장 공간과 장병의 사격 공간)과 나머지의 지원시설 공간으로 구성되어있다.  계획의 큰 방향은 ㄷ자의 작전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비워내고 전면에 새로운 공간을 신설하여 중정을 가지는 ㅁ자의 건물로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 중정 부분은 군사시설로서의 작전 공간과 문화시설로서의 창작 공간 사이에 만들어진 새로운 공간으로, 과거에는 병사들의 휴식 및 업무 공간이었고 앞으로는 입주 예술 작가와 방문객의 작업 및 휴식 공간으로 쓰이게 된다. 기존 시설과 신축 시설 사이에 자리하여 과거의 흔적과 현재의 이야기를 함께 담아내는 공간이 되는 것이다. 각 동 사이에는 편의시설인 화장실, 기계실 등을 배치하여 부족한 서비스 공간을 확보하였다. 지붕에 조성된 옥상 휴게공간이 1동부터 5동까지 연결되고, 건물의 내부 공간이 2동과 3동 사이의 지하연결통로(공사 중 발견됨)를 통해 연속되어 5개의 동이 하나로 연결되는 250m 길이의 단일 건축물이 되었다. 여기에 더해 5동의 지붕에서 신설도로의 보행로로 연결되는 계단을 계획하고, 내부에는 하부를 통해 중랑천으로 연결되는 지하통로(군사시설)가 신설되어 결과적으로는 중랑천부터 서쪽의 1동까지 동선이 내·외부로 연결되었다.  ㄷ자의 기존 시설 부분은 전시, 강의 등이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되고, 신축되는 시설의 1동에는 지원시설인 사무실, 관리실, 2~4동에는 예술 작가를 위한 공방, 5동에는 레스토랑이 배치되었다. 5동의 전면에는 높이 20m의 전망대가 신설되어 주변의 공원과 자연환경을 조망하며 휴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간적으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지점, 공간적으로 남북의 공원(창포원-체육공원)과 동서의 자연(수락산-중랑천-도봉산)을 연결하는 지점에 있는 방호시설이 그 시간적, 공간적 의미를 계속 쌓아 나가기를 기대한다. 글 유종수, 김빈 사진 황효철 (주)코어건축사사무소 co-re.kr 평화문화진지 운영시간 평일 10:00 ~ 18:00 (월요일 휴무) 휴관일 월요일 문의 02-3494-1970, 1976 웹사이트 culturebunker.or.kr  
VISIT YOURSELF 노량진 지하배수로, 최춘웅 2008년에서 2011년까지 실시한 동작구청 주변 침수해소사업 시행 과정에서 여러 형태의 하수 암거(하수가 흘러가도록 하기 위하여 땅속이나 구조물 밑으로 낸 도랑)가 발견되었다. 대표적인 단면은 마제형(馬蹄形)으로, 상부는 벽돌로 하부에는 석재를 쌓아 마감하였다. 1899년 경인선 철도가 개통되었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이 철도 횡단 폐쇄 하수 암거는 경인선 철도 건설 기간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공개된 하수 암거는 마제형 하수 암거(2구간) 20m를 포함하여 총 5구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구간 12.5m, 3구간 11.2m, 4구간 12.0m, 5구간 36.3m로 총 92m 길이이다. 각 구간의 건설 시기가 다르고 단면 형태가 달라 토목기술의 변화와 도시 변천사를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시설물이다. 노량진로 진입 시설은 뾰족한 세모 파빌리온 둘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서 있는 모습이다. 주변의 지하 보도 입구나 지하철 입구 등 도로편의시설과 차별화되어 지하 토목구조체가 땅 위로 연결되는 것처럼 보이고자 했다.  첫 번째 세모집은 작은 문을 품고 있고, 그 속 엘리베이터 뒤로 비밀의 방이 보인다. 두 번째 세모집은 문도 창도 없고, 아마도 지하로부터 온 듯한 바람 소리가 거친 자갈벽을 뚫고 올라온다. 두 세모집 사이에 땅이 갈라진 듯한 모습으로 자리 잡은 계단길이 땅 위의 사람길과 지하에 숨겨진 물의 길을 연결하는 비밀 통로다. 끝을 볼 수 없는 깊은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중간 참에 작은 영상전시실이 있다. 맨홀 같은 천창을 통해 빛이 떨어지고 영상 설치물을 통해 하수 암거가 발견된 당시의 모습과 기차 지나가는 소리 등을 경험할 수 있다. 전시실을 나와 반대 방향으로 내려서면 어두움 속으로 한 줄기의 얇은 빛이 가늘게 그림자를 드리운다. 지하배수로에 도착하면 어두운 간접조명 외에는 텅 비어 있는 조용한 통로가 시작된다.  수산시장을 향해 걸으면 서로 다른 토목 구조가 차례로 모습을 드러내고 반대 방향으로 가면 닫혀 있던 맨홀이 천창으로 교체되어 빛이 내려온다. 처음 배수로를 발견할 당시 맨홀을 통해 드나들던 상황이 재현되고 지하 속에 숨겨진 과거의 공간 속에서 시간 여행이 시작된다.  노량진 지하배수로 장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40-90 개관 매일 이용요금 무료  글, 사진 최춘웅
VISIT YOURSELF 구산동도서관마을, 최재원(플로건축사사무소) 구산동 도서관마을은 도시 뒷골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택지 막다른 골목의 다가구 주택, 단독주택을 도서관으로 변환하는 프로젝트였다. 미로처럼 얽혀 있는 주택의 무수한 방들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있었고 이에 기존 방들의 모듈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단순한 2개의 복도로 연결하는 방법을 택했다. 모든 방들은 이 두 복도로 연결된다. 도서관 사용자는 기존 골목을 오가며 책을 고르고 주택의 방에서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다. 기존 주택 스케일의 편안함을 지닌 방들은 열람실을 기본으로 토론방, 동아리 활동실, 소리 내어 책읽어주는 방 등 주민들의 활동들로 채워지고 있다. 구산동도서관마을은 단순히 새로 건립된 도서관이 아니라 기존의 주택건물, 기존의 골목 등 기존 마을 조직을 그대로 활용하여 주민들이 지닌 마을에 대한 기억을 존중하고 남아있는 것들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이 담긴 공간이기를 바랬다. 책상이 된 방문, 열람실이 된 방, 책복도가 된 골목, 미디어실이 된 주차장, 토론방이 된 거실, 당시 유행했던 재료를 알려주는 건물의 벽돌과 화강석들, 내부로 들어온 발코니들, 벤치가 된 기존 건물의 기초 등 그 장소에 남아있는 다양한 이야기들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고 있다. 골목을 거닐 듯 책복도와 마을마당을 거닐고 어린이, 청소년, 노인이 커뮤니티를 이루며 각자의 혹은 그들의 이야기를 지속적으로 써내려갈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글 최재원 사진 황규백 플로건축사사무소 floarchitects.kr/ 구산동도서관마을 주소 서울시 은평구 연서로 13길 29-23 개관 화 - 금 09:00~22:00,  주말 09:00~18:00 휴관 매주 월요일, 일요일을 제외한 법정공휴일, 장서 점검 및 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날, 기타 도서관 사정에 의한 임시 휴관일 문의 02-357-0100 웹사이트 https://www.gsvlib.or.kr/
VISIT YOURSELF 한강공원 양화지구 매점, 유종수 + 김빈 한강공원은 인구 천만의 도시 서울에서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쉼터이며, 소극적인 휴식부터 적극적인 활동까지 다양한 모습을 담고 있는 문화와 레저의 공간이다. 운동 시설, 매점, 공중화장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인 하절기의 집중호우에 대비하여 많은 시설이 물에 뜨는 부력식 구조로 되어 있다. 한강매점은 대체로 사람들의 통행량이 많은 곳에 있으나 기존 매점은 이러한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공간 유연성이 부족하여 저장공간이나 설비 공간 등이 무분별하게 덧대어져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한강의 경관을 저해하고 있으며, 매점의 구조와 평면 구성, 재료의 사용 등이 자연과 도시의 공존이라는 한강공원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이런 부분을 주목하여 양화지구 한강공원이 가지고 있는 주변 환경(한강-철교-여의도 마천루)을 조망할 수 있고 다양한 방향에서 접근 가능한 건물의 배치와 평면을 계획하였다. 시민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부속시설은 오히려 적극적인 디자인 어휘로 사용되었다. 사용상 요구되는 부속시설은 각각 순수한 도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도형의 형태를 통해 건물 외부 전면에 드러나도록 하였다.  원형의 데크로 순환형 동선을 구성하여 조망과 함께 편리한 동선, 공간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건물의 네 면에 수직 동선, 실외기실, 창고 등을 계획하여 향후 무분별한 시설 증축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건물의 외벽을 최대한 유리로 처리하여 주변의 조망과 건물의 개방감을 확보하고, 물에 뜨는 부력식 건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벼운 재료로 마감하였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노출된 도형들은 한강공원을 방문하는 시민들에게 생경한 풍경과 조형적 시설물로 인지되기를 바란다. 한강공원 양화지구 매점 이용기간 연중 운영시간 00:00~24:00 문의 양화안내센터 02-3780-0581~3, 운영총괄과 02-3780-0807 글 유종수, 김빈 사진 노경  (주)코어건축사사무소 co-re.kr
VISIT YOURSELF 여성가족복합시설 스페이스살림, 최정우 + 이승윤 + 김영주((주)유니트에이 건축사사무소) 스페이스 살림은 도시 내 다양한 레벨과 만나는 '시설이 아닌 장소'로서의 공공공간이다. 도시 맥락을 고려하여 대상지와 접한 모든 길에서 이어지는 크고 작은 길과 마당을 직교하여 구성하였다. 건물군의 배치 또한 군집된 시설이 아닌 흩어져 있는 마을 안의 집이 되길 의도하였다. 대방역과 연결되는 지하층은 ‘손'으로 하는 다양한 작업과 협업을 지원하는 공간이며, 지상의 공간은 시민들의 자율성으로 만들어가는 여백의 장소들이다. 스페이스 살림은 여전히 진행형의 공간으로 시민들이 사용하면서 변경되고 덧붙여지거나, 혹은 확장될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배려했다. 따라서 모든 방은 동일 모듈이 변주되어 향후 다양한 크기들로 확장되거나 나눠질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스페이스 살림은 도시 건축이다. 도시의 길과 레벨을 섬세하게 조정하여 건물과 길이 모두 만나게 했고, 생활 가로가 건축공간으로 이어진다. 모든 레벨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여 1/24의 램프로 단차를 극복하고, 코어를 흩어 놓아 건물의 어느 공간이든 쉽게 갈 수 있게 하였다. 처음으로 시도되는 육아 공유오피스, 여성 선도형 스타트업들은 상생하며 발전적 관계를 끊임없이 모색하는 장소이며, 공간의 위계가 분명한 공공 건축이 아닌 관계의 수평성과 다원적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장소로서의 도시 건축을 지향한다. 스페이스 살림은 용적률을 절반도 채우지 않았다. 연수시설을 제외한 지상 3층이 최고층이며, 지상 3층 또한 대부분 옥외공간으로 활용되도록 계획하였다. 대방역과 직접 연결되는 지하 2개 층의 레벨에서는 13개의 선큰과 흩어진 코어로 구성되어 작업장들의 관계를 설정하고 외부와 유연한 경계를 만드는 공간들이다. 선큰 가든은 지상층의 크고 작은 길로 연결되며 채광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지하 공간의 활용성이 더욱 증대되도록 구성하였다. 글  ㈜건축사사무소 유니트유에이 사진 텍스처온텍스처 여성가족복합시설 스페이스 살림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0 개관 월 – 금 9:00~21:00, 토 9:00~18:00 * 공간별로 운영시간이 다르므로 상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공간' 메뉴를 통해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휴관 일요일, 법정 공휴일 대표번호 02-810-5201  입주기업 모집 문의 02-810-5256 웹사이트 spacesallim.or.kr  
VISIT YOURSELF 숨쉬는 그물, 조남호+임기웅(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2023 지역단위 공공미술 프로젝트 서울숲, 숨쉬는 그물   “생태적이고, 미학적이며, 기능적인 방식으로, 주변의 모든 것들과 관계되어 있는 시설물”   인간 중심의 세계관에서 비롯된 전체에서 부분은 한 요소 또는 도구적 수단에 불과하다. 생태학에서는 부분에서 전체로, 전체에서 부분으로 나아간다. 다공성 목재 세포의 원리는 그물구조의 구성 요소, 단위, 야외공연장의 무대와 주변 공간을 통합하는 시설의 형태 원리로 확장된다. 목재는 약함과 강함의 대비되는 속성을 동시에 갖은 재료다. 서울숲 숨쉬는 그물주재료로 목재를 선택하는 이유는 ‘약함’의 속성에 있다. 근대를 대표하는 철, 콘크리트 같은 ‘강함’의 속성은 우리를 보호하는 역할에서 어느 순간 그 방향을 바꿔 우리를 향해 날 선 모습으로 다가온다. 마치 나무의 껍질의 원리처럼 약함이 서로 연대해 나무의 안쪽을 보호하는 것처럼, 강함에 대체하는 재료와 구축시스템을 제안한다.    「숨쉬는 그물」은 ‘관계를 이어주는 느슨한 기하학적 질서’를 갖는다. 야외공연장의 무대를 중심으로 무대로 향하는 네 개의 동선과 두 개의 쉼터를 느슨한 그물망 형태의 지붕 아래 통합한다. 새로운 시설은 오브젝트가 아닌, 관계를 통합하고 조율하는 중성적인 형태로 인식되지만, 다공성 표면의 조합에 의해 고유성이 드러난다. 공연장의 무대와 통로, 계단, 부대시설, 보행로 주변 공간을 포함하는 30mx11.5m 크기의 공간을 1m 간격의 목조 수평 서까레로 구성된 느슨한 질서의 지붕으로 덮는다. 공연장의 무대는 통로까지 포함한 18m 폭의 공간으로 확장해, 공연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열린 공간으로 제안한다. 북쪽 보행로 쪽으로 확장된 지붕은 다공성의 벽면과 함께 그늘 쉼터를 이루는 요소다. 이 다공성의 구조물은 풍화의 세월을 더해 자연의 일부가 되어간다.    산림은 배출되는 탄소보다 더 많은 탄소를 흡수할 때, ‘탄소 흡수원 Carbon Sink’로 간주 된다. 온실가스의 배출량이 많은 재료 대신 탄소를 흡수 저장하는 목재를 사용하면 기후 변화를 완화하는데 기여 한다. 목재를 건축자재로 활용했을 경우 목재사용량 1m³당 0.25ton의 탄소를 저감한 것으로 계산한다.탄소를 저감하는 재료적 특성과 더불어 우리가 제안하는 생태적인 다공성 그물망은 서울숲을 넘어 보편적 도시건축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둔 작업이다. 글 조남호 사진 윤준환 (주)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soltos.kr
VISIT YOURSELF 인왕산 숲속쉼터, 조남호(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 김은진, 김상언(에스엔 건축사사무소) * 주차공간이 협소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왕산 자락길, 인왕산 숲길, 등산로 등을 통해 도보로 오실 수 있습니다. 도보로 20분이 걸리는 등산로이니, 편한 복장과 신발을 착장하시고 오래 걷기 어려우신 분들은 프로그램 신청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방문 전 인왕산 초소책방 홈페이지를 참고하셔서 오는방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왕산  초소책방 홈페이지 https://chosobooks.com/contact * 인왕산 숲속쉼터 근처 인왕산 초소책방도 방문 가능하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인왕산 초소책방 정보  https://www.ohseoul.org/2022/programs/인왕산-초소책방/event/267 1968년 1·21사태 이후 북악산과 인왕산에 30여 개의 군 초소가 들어서면서 오랫동안 시민들의 출입이 통제되었다. 점차 그 수를 줄여 오다가 2018년 정부는 한양도성 성벽에 설치된 20개 경계 초소 중 18개를 철거하고, 2개소는 훼철과 복원의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 보존했다. 초병의 거주 공간이었던 인왕3분초도 철근콘크리트조 필로티 위 상부 구조물을 철거하고, 시민들을 위한 쉼터로 재구성됐다. 오랜 반목과 통제의 상징인 인왕3분초는 개방의 시대, 교류를 상징하는 시민들의 숲속쉼터로 돌아왔다. 숲속쉼터는 시공성 등을 고려해 사전 제작된 목재를 헬기로 운송해 현장에서 조립됐다. 목조의 구법은 부재를 입체적으로 조립하여 3차원의 구조물을 조립하는 형식이다. 다양한 크기의 선부재를 맞춤과 조합을 통해 구조물을 이룬다. 숲속쉼터는 목구조의 전형적인 형식을 따르지 않는다. 거대한 크기의 지붕판들은 목재 기둥 위에 얹혀 있지 않고, 기둥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중이 전달되는 자연스러운 구조 원리에 순응하지 않는다. 기둥 폭만큼 비운 사이 간접 조명은 두텁고 커다란 지붕판을 마치 떠 있는 듯 ‘가벼운’ 인상으로 변환한다. 가벼워진 지붕판은 산책자의 시선을 자연으로 향하게 한다. 글  조남호 사진 김용순  솔토지빈건축사사무소 soltos.kr 에스엔건축사사무소 sn-architecture.com 인왕산 숲속쉼터 장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산 4-36 개관 화-일 10:00 ~ 17:00 휴관 월요일, 설 연휴, 추석 연휴 이용요금 무료